맨위로가기

슬라브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라브 신화는 고대 슬라브인들의 종교적 신념과 관련된 신화 체계이다. 직접적인 문헌 기록이 부족하여 구전으로 전해졌으며, 기독교 선교사들의 기록과 민속 관습, 노래, 이야기 등을 통해 그 단편을 엿볼 수 있다. 우주관으로는 세계수가 존재하며, 하늘, 지하 세계, 인간의 세계를 연결하는 구조를 가진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페룬, 벨레스, 다지보그, 모코시 등 다양한 신들이 있으며, 동슬라브, 서슬라브, 남슬라브 지역에 따라 숭배되는 신들의 종류가 조금씩 다르다. 기독교 개종 이후에도 민간 신앙으로 남아 정령 숭배, 바바 야가, 흡혈귀, 늑대인간과 같은 존재에 대한 믿음이 전해졌다. 19세기부터 러시아 신화학파를 중심으로 슬라브 신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2. 기원

파간의 숭배 유적


고대 그리스, 인도, 중국 또는 이집트 신화와 달리 슬라브 신화의 직접적인 문헌기록은 없다. 슬라브인들이 862년 성인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가 슬라브 땅에 도착하여 글라골 문자키릴 문자를 전해주기 전에는 어떤 종류의 문자가 있었는지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의 원래 종교적 신념과 전통은 모두 세대를 거쳐 구두로 전달되었을 것이고, 그전에 슬라브 종교의 희박한 기록은 기독교 선교사들이 기록했다.[2] 기존 슬라브 숭배 관념과 고고학 유물은 발견되었지만, 기존의 역사적 기록을 확인하는 것 이외에는 거의 얻을 수 없었다. 오래된 신화적 신념과 이교도 축제의 단편들은 모든 슬라브 민족의 민속 관습, 노래, 이야기 및 민속 이야기에서 오늘날까지 살아남아 있다.

슬라브 민족은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전해지는 신화를 민족 고유의 방식으로 기록한 자료는 존재하지 않는다.[1] 슬라브 신화가 존재했음을 기록하는 자료로는, 9세기부터 12세기 사이에 행해진 기독교 개종 탄압 당시 "기독교" 입장에서 기록된 단편적인 이교 신앙을 나타내는 내용의 기술만이 남아 있다.

최근 연구를 통해 슬라브 신화는 지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1]

3. 우주관

원시 인도유럽 신화의 대표적인 우주론 개념인 세계수는 슬라브 신화에도 존재한다. 세계수의 신화적 상징은 매우 강했고, 기독교화 이후 수 세기 동안 슬라브 민속 문화에 남아 있었다. 세계 나무에는 세 단계의 우주가 존재하는데, 가지는 하늘, 신들과 천체의 영역을 나타낸다. 뿌리는 지하 세계를 의미하며, 죽음과 대항하는 개념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세계 나무의 축은 수직적, 수평적 세계를 나타낸다. 신들과 필멸자들의 세계는 바다 중심에 있고, 바다를 둘러싼 죽은 이들의 땅을 가로지른다. 매년 겨울에 새들이 이 땅으로 날아가 봄에 돌아온다. 많은 민속 개념에서 바다 건너편에서 오거나 바다를 가로지르는 것은 죽음과 삶의 순환을 의미한다. 이는 내세가 물을 건너 존재한다는 고대 신화의 개념을 보여준다. 또한, 수평축에서 세계는 네 방향(동, 서, 남, 북)으로 나뉜다.

4. 슬라브 신화의 등장인물

슬라브 신화에는 다양한 신들이 등장한다. 이 신들은 자연 현상, 인간의 삶, 운명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며, 슬라브 민족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 창조신: 데이보스
  • 어둠과 죽음의 신: 체르노보그 (벨로보그와 적대 관계)
  • 빛과 생명의 신: 벨로보그 (체르노보그와 적대 관계)
  • 태양신: 다지보그 (부와 힘), 호르스
  • 천둥과 번개의 신: 페룬 (슬라브 신화의 최고신)
  • 바람의 신: 스트리보그
  • 지구, 물, 지하 세계의 신: 벨레스
  • 대장장이 신이자 불의 신: 스바로그
  • 전쟁, 다산 및 풍요의 신: 스바토빗
  • 아름다움의 여신: 자리아
  • 사랑과 다산의 여신: 지바
  • 사랑과 결혼 및 여름과 미의 여신: 라다
  • 봄과 사랑의 여신: 베스나
  • 수확, 마술, 겨울과 죽음의 여신: 모라나
  • 전쟁, 식물, 비옥 및 봄의 신: 야릴로 (수확과 관련)
  • 대지모신: 모코쉬
  • 아침과 저녁 별의 수호 여신: 조르야 (두 명)
  • 기타: 시마르글, 마르잔나, 트리글라브

4. 1. 동슬라브 신화

키예프 루스의 가장 오래된 연대기인 『원초 연대기』에는 동슬라브족이 숭배했던 신들에 관한 기록이 있다. 980년블라디미르 1세가 궁전 근처 언덕에 세운 6명의 신들의 상은 다음과 같다[3]:

  • 뇌신 페룬(Perun)
  • 풍요의 신 볼로스/벨레스(Volos / Veles)
  • 바람의 신 스트리보그(Stribog)
  • 태양신 다지보그(Dazhbog)
  • 태양신 호르스(Khors, Xors)
  • 여성 노동의 수호신이자 어머니 신 모코시(Mokosh)
  • 칠두신 세마르글(Semargl)


무라무라 키치타로가 번역한 『원초 연대기』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 그리하여 블라디미르는 홀로 키예프에서 군림하기 시작하여, 테렘의 저택 바깥 언덕 위에 우상을 세웠다. 은색 머리와 금색 수염을 가진 목조 페룬, 호르스, 다지보그, 스트리보그, 세마르글 및 미코시를 《세웠다》. 그러고 그들을 신이라 부르며 그들에게 예배하고, 자신의 아들들과 딸들을 데려와 악귀들에게 예배했으며, 자신의 제물로 대지를 더럽혔다. 그리하여 《제물》의 피로 루스의 땅과 그 언덕이 더럽혀졌다.

그 외에 알려진 신들은 다음과 같다:

  • 불의 신 스바로그(Svarog)[4]
  • 출산과 운명의 신 로드(Rod)와 로자니차(Rozhanitsa)


로드와 로자니차는 시대에 따라 신앙의 변화가 있었고, 다양한 설이 있어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하지만, 로드는 출산, 운명, 일족, 선조 등을 관장하는 남성신이며, 로자니차는 지모신으로 출산과 운명을 관장한다. 초기에는 로자니차 단독으로 숭배되었지만, 중세 이후에는 "로드와 로자니차"로 함께 불리는 부부신이 되었다. "우프리 및 베레기냐" 숭배가 성행했던 시기부터 페룬 숭배가 성행하는 시대 사이에 "로드와 로자니차"가 널리 숭배되었으며, 조상 숭배와 관련되어 로드는 최고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로자니차가 출산을 관장하고, 로드가 사람의 탄생에 영혼을 불어넣는다고 믿어졌다. 이들은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대상이었다.[5][6][7][8][9][10][11] 로드 숭배의 중심지 중 하나는 로데니였으며, "로데니"라는 이름은 로드에서 유래했다.[12]

슬라브 신화에는 천체의 의인화된 신들(페룬, 다지보그, 모코시)과 크토니오스의 신들이 모두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3]

4. 2. 서슬라브 신화

서슬라브에서 숭배되었던 주요 신들은 『슬라브 연대기』 등의 자료에 10명 정도가 기록되어 있다.[14] 이 지역에서는 군신이 주로 숭배되었다.[15]

  • 스벤토비트 (군신)
  • 트리글라프 (군신)
  • 야로비트(Jarovit) (군신, 풍요의 신, 세르비아의 풍요의 신 야릴로 참조)
  • 라데가스트 (군신, 태양신)

4. 3. 남슬라브 신화

남슬라브 신화에서는 다음과 같은 신들이 알려져 있다.[19]

4. 4. 그 외의 신


  • 데이보스 : 슬라브 신화의 창조신이다.
  • 체르노보그 : 슬라브 신화에서 어둠과 죽음의 신으로, 벨로보그와 적대 관계이다.
  • 벨로보그 : 슬라브 신화에서 빛과 생명을 관장하는 신으로, 체르노보그와 적대 관계이다.
  • 다지보그 : 부와 힘을 관장하는 태양의 신이다.
  • 야릴로 : 전쟁, 식물, 비옥 및 봄의 신이며 수확과도 관련이 있다.
  • 라다 : 사랑과 결혼 및 여름과 미의 여신이다.
  • 베스나 : 봄과 사랑의 여신이다.
  • 모라나 : 수확, 마술, 겨울과 죽음의 여신이다.
  • 페룬 : 천둥과 번개를 관장하는 뇌신이자 슬라브 신화의 최고신이다.
  • 스트리보그 : 바람의 신이다.
  • 호르스 : 태양의 신이다.
  • 모코쉬 : 대지모신이다.
  • 시마르글
  • 마르잔나
  • 스바로그 : 슬라브 신화의 대장장이 신이자 불의 신이다.
  • 스바토빗 : 전쟁, 다산 및 풍요의 신이다.
  • 트리글라브
  • 벨레스 : 지구, 물, 지하 세계의 신이다.
  • 자리아 : 아름다움의 여신이다.
  • 지바 : 사랑과 다산의 여신이다.
  • 조르야 : 아침과 저녁 별을 대표하는 두 명의 수호 여신이다.

4. 5. 영웅의 신격화

키이, 셰크, 호리프, 체흐, 랴흐, 크라크 등의 신들은 역사상의 영웅이 신격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5. 민간 신앙



고대 그리스, 인도, 중국 또는 이집트 신화와 달리 슬라브 신화의 직접적인 문헌기록은 없다. 슬라브인들이 862년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 성인이 슬라브 땅에 도착하여 글라골 문자키릴 문자를 전해주기 전에는 어떤 종류의 문자가 있었는지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의 원래 종교적 신념과 전통은 모두 세대를 거쳐 구두로 전달되었을 것이고, 슬라브 종교에 대한 기록은 기독교 선교사들이 남긴 것이 대부분이다. 기존 슬라브 숭배 관념과 고고학 유물은 발견되었지만, 기존의 역사적 기록을 확인하는 것 외에는 큰 의미를 찾기 어렵다. 오래된 신화적 신념과 이교도 축제의 단편들은 모든 슬라브 민족의 민속 관습, 노래, 이야기 및 민속 이야기에서 오늘날까지 살아남아 있다.

10세기에 슬라브 지역에서 기독교로의 개종이 진행되면서 주요 신(신격)에 대한 신앙은 사라졌다. 그러나 기독교로 개종한 슬라브인들의 생활 속에는 다음과 같은 "소신(디이 미노레스)"에 대한 민간 신앙이 남아 있었다.[16] 이들은 자연 현상 등에서 유래한 정령으로 여겨진다.[19]


  • 집의 정령 도모보이
  • 물의 정령 보자노이
  • 숲의 정령 레시
  • 물의 정령 루사르카
  • Zorya|조랴영어 (오로라)[17]


더욱이 다음과 같은 존재는 옛날 이야기에도 등장한다.[19]

  • 마녀 할머니 바바 야가
  • 불사의 노인 코셰이
  • 추위의 제드 마로스


슬라브의 민간 전승에서 특히 유명한 것은 흡혈귀(Strzyga|시치시가영어)와 늑대인간(Vrykolakas|빌코라크영어)에 관한 것이다.[18]

6. 슬라브 신화 연구

고대 그리스, 인도, 중국 또는 이집트 신화와 달리 슬라브 신화의 직접적인 문헌 기록은 없다. 슬라브인들이 862년 성인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가 슬라브 땅에 도착하여 글라골 문자키릴 문자를 전해주기 전에 어떤 종류의 문자가 있었는지는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의 원래 종교적 신념과 전통은 모두 세대를 거쳐 구두로 전달되었을 것이고, 그전에 슬라브 종교의 희박한 기록은 기독교 선교사들이 기록했다.[2] 기존 슬라브 숭배 관념과 고고학 유물은 발견되었지만 기존의 역사적 기록을 확인하는 것 이외에는 거의 얻을 수 없었다. 오래된 신화적 신념과 이교도 축제의 단편들은 모든 슬라브 민족의 민속 관습, 노래, 이야기 및 민속 이야기에서 오늘날까지 살아남아 있다.

슬라브 민족은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전해지는 신화를 민족 고유의 방식으로 기록한 자료는 존재하지 않는다.[1] 슬라브 신화가 존재했음을 기록하는 자료로는, 9세기부터 12세기 사이에 행해진 기독교 개종 탄압 당시의 "기독교" 입장에서 기록된 단편적인 이교 신앙을 나타내는 내용의 기술만이 남아 있다.

슬라브 신화는 지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있었다는 사실이 최근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1] 슬라브 신화 연구는 19세기 중반부터 러시아 신화학파라고 불리는 일련의 연구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19] 1960년대 이후, 러시아의 언어학자 뱌체슬라프 이바노프, 블라디미르 토포로프, 니키타 톨스토이(Nikita Tolstoy), 보리스 우스펜스키(Boris Uspensky), 고고학자 보리스 르이바코프(Boris Rybakov), 서사시 연구자 엘레아자르 멜레틴스키(Yeleazar Meletinsky) 등에 의해 고대 슬라브의 신화 세계를 재구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19]

참조

[1] 서적 坂内 2004
[2] 서적 伊東 2002
[3] 서적 ワーナー 2004
[4] 서적 和田 1997
[5] 서적 Mother Russia: The Feminine Myth in Russian Cultur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09-22
[6] 서적 Slavic Gods and Hero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7-11
[7] 서적 Russia--women--cultur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8] 학술지 中世ロシアの異教信仰ロードとロジャニツァ:日本語増補改訂版(前編 資料) http://id.nii.ac.jp/[...] 2005-01-31
[9] 학술지 中世ロシアの異教信仰ロードとロジャニツァ:日本語増補改訂版(後編 分析) http://id.nii.ac.jp/[...] 2006-01-31
[10] 백과사전 スラブ神話 2022-06-11
[11] 백과사전 Rod 2022-06-11
[12] 서적 Русь между Югом, Востоком и Западом https://books.google[...] Litres 2022-05-15
[13] 서적 ДРЕВНЯЯ РЕЛИГИЯ СЛАВЯН ミタヴァ
[14] 서적 和田 1997
[15] 서적 伊東 2002
[16] 서적 アレグザンスキー 1993
[17] 서적 アレグザンスキー 1993
[18] 서적 伊東 2002
[19] 서적 坂内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